세금이야기

종합소득세 신고, 어렵지 않아요 – 사업소득자용 가이드

위례일등부동산 2025. 4. 18. 17:00

안녕하세요 :)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에요.
1인 사업자, 프리랜서처럼 사업소득만 있는 분들
이 시기에 꼭 신고를 하셔야 하죠.

이번 글에서는 근로소득 없이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,
종합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,
공제 가능한 항목은 어떤 게 있는지
차분하게 정리해드릴게요 😊

1️⃣ 종합소득세란?

한 해 동안 벌어들인 여러 가지 소득을 한데 모아
종합적으로 신고하고 세금을 내는 제도예요.

📌 신고 대상: 2024년 1월 ~ 12월까지 벌어들인 소득
📌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📌 해당 소득: 사업소득, 이자, 배당, 연금, 기타소득 등

2️⃣ 사업소득자, 누가 해당될까요?

  • 개인사업자로 등록되어 사업 중인 분
  • 프리랜서로 3.3% 원천징수 세금을 떼고 소득 받은 분
  • 작가, 강사, 쇼핑몰, 유튜브 등 고정직장 없이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

근로소득이 따로 없고, 사업소득만 있는 분들이라면 종합소득세를 꼭 신고하셔야 해요.

3️⃣ 어떻게 신고하나요?

홈택스에서 '종합소득세 신고' 메뉴를 이용하면
내 소득, 경비, 세액공제 항목까지
자동으로 불러와줘서 생각보다 간편해요.

단! 사업소득자는 경비 처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
실제 내는 세금 차이가 크게 발생하니 주의해야 해요.

4️⃣ 사업소득자에게 중요한 건 “경비처리”

✅ 절세를 위한 3가지 방식

 

구분 방식 특징
① 복식부기 or 간편장부 실제 지출을 경비로 반영 정밀하고 절세 효과 큼
② 단순경비율 국세청이 업종별 비율로 자동 계산 간편하지만 절세 효과는 작음
③ 추계신고 거의 증빙 없을 때 일반적으로 불리, 비추천

✔ 간편장부 대상자는 경비 내역을 간단히 정리해서 신고 가능
✔ 장부 작성이 어렵다면 세무사에게 기장대행을 맡겨도 좋아요.
    → 수수료보다 절세 혜택이 더 큰 경우도 많거든요 😊

5️⃣ 사업소득자가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은?

 

항목 가능여부 설명
국민연금, 건강보험료 ✅ 가능 자동 불러오기됨
신용카드/현금영수증 사용액 ✅ 일부 가능 총급여 낮을 경우 소액 공제
기부금 ✅ 가능 지정기부금만 가능
보장성 보험료 ❌ 불가 근로소득자만 해당
의료비, 교육비 ❌ 불가 근로소득자 전용 공제
전세자금대출 이자 ❌ 불가 주거 목적, 사업소득자 제외

🔸 보장성 보험료, 의료비, 교육비 공제는 사업소득자에게 적용되지 않아요.
해당 항목은 근로소득이 있을 경우에만 공제 가능하니 입력 시 주의하세요!

✨ 마무리 TIP

  • 세무사 기장대행이 부담스럽다면 홈택스에서 단순경비율로 신고 가능
  • 단, 매출이 높아질수록 장부기장이 유리할 수 있어요
  • 공제 항목사업소득자에게 해당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

다음 글에서는
📌 홈택스로 종합소득세 신고, 화면 따라하기
실제 신고 화면을 하나씩 따라보며 안내드릴게요 🖥️

👉 2편 예고: [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 – 차근차근 따라하기]